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베가스 첫 강좌로 가장 기초적인 내용인 영상 자르기를 알려드리려고 해요.
베가스 프로그램에서는 '영상 자르기, 영상 속도 조절, 화면 전환 효과' 만 알아도 기본 편집이 가능해집니다.
우선 베가스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편집할 영상을 불러와보겠습니다. 그런데 영상을 불러오면 위처럼 어떤 문구가 나오게 되는데요. 이것은 현재 작업자가 불러온 영상에 맞게 프로젝트 설정을 자동으로 맞추겠다는 의미입니다.
제가 불러올 파일 정보는 1440x1080이고 프로젝트 값은 1920x1075 해상도로 설정돼있습니다. 위 안내 창에서 Yes를 클릭하면 프로젝트 값이 파일 정보에 맞춰 1440 x 1080로 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Yes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파일을 불러온 후에는 타임라인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편집을 원하거나 프리뷰로 확인하고 싶은 지점을 찍으면 그 부분으로 편집표시선(CTI)이 이동하죠. 이 선을 기준으로 내가 원하는 영상 부분을 자를 수 있게 됩니다. 영상 자르기 단축키는 'S'입니다. (Tip: 잘리지 않을 경우 키보드에서 한/영을 눌러 영어로 되있는지 확인!)
단축키를 사용해 영상을 자르게 되면 이렇게 영상의 일정 부분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잘못 자른 경우 Ctrl + Z)
삭제하기 단축키는 키보드에서 Delete 혹은 DEL입니다. 보시다시피 영상 자르기 기능을 사용해
영상의 일정 부분을 삭제한 모습입니다.
Tip: 영상을 자른 후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위 옵션을 활성화시켜주시면 됩니다.
auto ripple 이란 옵션인데 일정 부분을 삭제시키면 뒤에 있는 클립을 자동으로 당겨줍니다.
Tip: 영상을 분리할 때 타임라인에 마우스를 갖다 댄 후 휠을 위로 올리면 시간 간격이 더 짧
아져 섬세한 작업 기능해집니다. 키보드 방향 키로 편집표시선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번엔 속도 조절 방법입니다. 클립의 끝부분에 마우스를 갖다 댄 후 Ctrl 키를 누른 채 왼쪽으로 당기거나 혹은
오른쪽으로 늘리면 됩니다. 왼쪽으로 이동할수록 영상 속도가 빨라지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정상적으로 속도 조절을 하였다면 위처럼 'W'모양이 생기게 됩니다.
(참고 영상)
이렇게 오늘은 베가스 영상 자르기와 속도 조절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초 내용 중 하나인 화면전환 효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베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가스 화면 전환 효과와 페이드인&아웃 (0) | 2019.01.05 |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