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베가스에서 화면 전환 효과를 줄 수 있는 트랜지션(transition) 효과와

이미지가 점점 선명해지거나 혹은 어두워지는 기능인 페이드 인과 페이드아웃 기능을 살펴보려 합니다.



화면 전환 없이 동영상을 만들 경우 예시



화면 전환 효과가 없으면 위처럼 한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로 넘어갈 때 바로 휙휙 넘어가기 때문에 동영상이

굉장히 딱딱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은 트랜지션 효과나 페이드인&아웃 효과를 많이 사용하고 있죠.

먼저 트랜지션 효과부터 한번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이처럼 트랜지션 효과를 통해 동영상을 한번 만들어보았습니다. 베가스는 각종 트랜지션 효과에 마우스만 가져다 놓아도 미리 보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처럼 원하는 효과를 즉각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베가스의 큰 장점이죠.



Tip. 이미지 재생시간 변경



타임라인에 편집할 이미지를 불러올 때 기본 재생시간은 5초입니다. 이 설정값을 변경하려면 메뉴바의 옵션(Options)에서 Preferences를 클릭하세요. 창이 뜨게 되면 Editing를 클릭한 후 설정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Tip. 트랜지션 효과 적용 취소





페이드인&아웃 효과 알아보기


다음으로 페이드 인과 페이드아웃 효과를 알아볼 차례입니다. 앞에서는 클립들을 서로 겹쳐서 한 이미지에서 다음

이미지까지 서서히 사라지게 했다면 페이드인&아웃은 겹치지 않은 상태로 이미지가 점점 어두워지거나 선명해지는 방식입니다. 또한 겹치지 않은 상태에서 하기 때문에 영상 재생 시간도 변함이 없죠. 하단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첫 번째 이미지가 두 번째 이미지로 넘어갈 때는 서로 겹쳐 보이지만 두 번째에서 세 번째 이미지로 넘어갈 때는

이미지가 완전히 어두워졌다가 다음 이미지가 나타나게 됩니다. 




적용 방법은 클립을 선택한 뒤 시작 부분을 보면 민트색 삼각형이 있습니다. 그걸 클릭해서 당겨주면 됩니다. 많이 당길수록 더 서서히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되니 참고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번 1강부터 지금까지 베가스 영상 자르기, 속도 조절, 화면 전환 효과, 페이드인&아웃 효과까지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취미로 간단한 영상을 만드시는 분이라면 사실 여기까지만 알아도 큰 지장이 없습니다. 그만큼 정말 자주 사용되는 기본 기능이죠. 다음 3강에서도 실용적인 강좌로 진행하겠습니다.

'베가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가스 영상 자르기와 속도 조절 방법  (0) 2019.01.0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